상속소송

상속받을때 꼭 알아두어야할 사항!

lawharam 2017. 10. 19. 15:15



상속 유의점



가까운 가족이 사망한 경우에는 자신이 상속인이 되는지, 유효하게 작성된 유언증서는 없는지,

상속재산은 얼마이고, 자신의 상속분은 얼마인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상속인이 되면 피상속인의 재산상 권리 뿐만 아니라 의무도 승계가 되기 때문에

상속인이 되는지 여부를 빨리 알아봐야 원하지 않는 채무를 상속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법적으로 유효한 유언증서가 있으면 법정 유언의 경우 유언의 내용이 지켜져야 합니다.

특히 유증이 되어 있응 경우에는 수증자에게 먼저 유증이 이루어진뒤 남은 재산으로 상속이 이루어지므로,

유언증서를 찾아 그 내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피상속인 명의의 예금, 대출, 보증, 증권계좌, 보험계약, 신용카드 관련 채무가 있는지의 여부는 금융감독원 소비자센터

또는 금융업권협회에서 상속인 등에 대한 금융거래조회를 통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 피상속인 명의의 부동산이 얼마나 있는지 여부는 피상속인 주소지의 시.군.구청 지적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속인이 여러명인 경우에는 공동상속이 이루어지고 유증이 없으면 각자의 상속분은 통상 법정상속분에 따르게 됩니다.


상속의 포기 또는 상속의 한정승인은 상속인이 상속 개시 있음을 안 날로부터 3개월 내에

가정법원에 신고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고기간 내에 상속을 포기할 것인지 한정승인을 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02 - 955 - 5552

서울북부지방법원 정문 맞은편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734( 도봉동 631-18 ), 3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