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의 한정승인을 하면 상속재산의 한도에서 상속채무 또는 유증을 변제하면 되므로
변제하지 못한 채무가 있다 하더라도 한정승인자는
상속채무에 대해서 더 이상 책임지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나 상속인은 여전히 상속인으로 남게 되므로
한정승인자도 단순승인을 한 상속인과 마찬가지로 상속세를 부담합니다.
반면에 상속을 포기하면 그 상속인은 더 이상 상속인의 지위를 갖지 않게 되며,
그 상속재산은 다음 순위의 상속인에게 넘어가게 됩니다.
따라서 자신이 상속을 포기했다고 해서 피상속인의 채무가 모무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후순위의 상속인이 되는 사람(예를 들어, 자신의 자녀 , 손자 등)이
이를 상속받을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합니다.
즉, 상속을 포기할 때에는 후순위 상속인까지 모두 상속을 포기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02 - 955 - 5552
서울북부지방법원 정문 맞은편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734, 3F
'상속소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멸시효가 지난 채무도 상속인들이 갚아야 할까? - 상속무료상담변호사 - (1) | 2023.01.03 |
---|---|
상속한정승인과 상속부동산 에 대한 취득세 - 도봉구상속무료상담변호사 - (0) | 2022.12.23 |
미혼 동생이 사망한 경우의 상속 - 의정부.도봉구.노원구상속무료상담변호사 - (0) | 2022.12.09 |
상속의 한정승인 - 의정부.도봉구.노원구상속무료상담변호사 - (0) | 2022.11.22 |
상속회복청구권의 소멸시효 - 의정부.도봉구.노원구상속무료상담변호사 - (0) | 2022.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