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혼인 전부터 직업 없이 빈둥거리던 남편과 달리 열심히 노력하여
음식점을 마련하였으나 남편명의로 하였고, 시부모까지 모시고 살았습니다.
그런데 최근 남편이 사망하면서 상속인으로 자녀가 없어 시부모와 공동상속하게 되었는데,
저는 음식점을 저의 노력으로만 마련한 것이기에 제가 단독으로 상속받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기여분이란 공동상속인 중에서 상당한 기간 동거.간호 그 밖의 방법으로 피상속인을 특별히 부양하거나
피상속인의 재산의 유지 또는 증가에 특별히 기여한 자가 있을 경우에 이를 상속분의 산정에 고려하는 제도입니다.
즉, 공동삭속인 사이에 실질적인 공평을 꾀하려는 제도입니다.
피상속인이 상속개시 당시에 가지고 있던 재산의 가액에서 기여상속인의 기여분을 공제한 것을 상속재산으로 보고
상속분을 산정하여 이 산정된 기여분을 보탠 금액을 기여상속인의 상속분으로 합니다( 민법 제1008조의2제1항 ).
그리고 기여분을 주장할 수 있는 자는 공동상속인에 한하므로 공동상속인이 아닌 자는
아무리 피상속인의 재산의 유지 또는 증가에 기여하였더라도 기여분의 청구를 할 수 없습니다.
예컨대, 사실상의 배우자, 포괄적 수증자 등은 상속인이 아니므로 기여분권리자가 될 수 없습니다.
가정법원은 협의가 되지 아니하거나 기여분을 정합니다( 민법 제1008조의2제2항 ).
기여분은 상속이 개시된 때의 피상속인의 재산가액에서 유증의 액수를 공제한 액을 넘지 못하며
이 제한은 기여분보다는 유증을 우선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위의 내용의 경우에는 기여분에 대하여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보호방법으로는 공동상속인끼리 협의를 하고,
협의가 되지 않거나 불가능한 경우에 가정법원에 청구하여 기여분을 보호받을 수도 있습니다.
02 - 955 - 5552
서울북부지방법원 정문 맞은편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734( 도봉동 631 - 18 ) , 3F
'상속소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입양과 친생자입양에 따른 친생부모의 재산 상속은 어떻게 될까? (0) | 2017.08.28 |
---|---|
상속회복청구권의 제척기간은? (0) | 2017.08.24 |
공동상속인의 일부가 상속등기에 협의하지 않을 경우 (0) | 2017.08.18 |
계모의 재산 상속받을 수 있을까? (0) | 2017.08.16 |
상속회복청구권이란? (0) | 2017.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