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기사 -
이혼 후 300일 이내에 태어난 자녀에 대해선 소송 없이도
간단한 허가 청구를 통해 전 남편이 아닌 생부를 아버지로 출생신고할 수 있도록 법이 바뀐다.
과학기술 발달 등에 따라 진정한 혈연관계를 확인하는 과정이 어렵지 않은데도
기존 법은 소송을 통해서만 해결하도록 하는 등 절차가 어려워 시대 흐름이나 양성평등 등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법무부는 29일 '친생부인의 허가 청구' 및 '인지의 허가 청구' 절차를 마련하는 내용을 담은
정부 제출 '민법 및 가사소송법 일부 개정법률안'이 전날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기존 법리상 아내가 혼인 중에 임신한 아이는 남편의 자식, 즉 친생자로 추정된다.
가족법상 인지란 혼인 외 출생자를 그의 생부나 생모가 자기 아이라고 인정하는 절차다.
이는 현행 민법상 혼인이 성립한 날로부터 200일 후 또는 이혼 후 300일 이내에 태어난 아이는
혼인 중에 임신하는 것으로 추정하도록 하는 조항으로 반영됐다.
이 때문에 유전자 검사 등을 통해 전 남편 자녀가 아님이 확인된 경우에도
출생신고 때는 무조건 전 남편의 아이로 가족관계등록부에 올리도록 했다.
이후 전 남편이 실제 아버지가 아니라는 사실을 안 때부터 2년 이내에
친생자 관계를 부인하는 소송을 가정법원에 제기해 판결을 받아 시정하는 절차를 밟도록 했다.
헌법재판소는 2015년 5월 이 같은 조항이 어머니의 인격권 및 혼인과 가족생활에 관한 기본권을 침해하다며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이번 개정을 통해 어머니 또는 전 남편은 소송이 아닌 '친생부인의 허가 청구'를 통해
전 남편의 자녀가 아님을 증명해 자녀를 출생신고 할 수 있다.
청구권자가 아니었던 생부 또한 '인지 허가 청구'를 통해 자시의 자녀임을 증명해 출생신고를 직접 할 수 있다.
아울러 2년이라는 제소기간을 없앴고, 심판 절차에 당사자들이 참여하지 않아도 되도록 했다.
다만 이미 전남편 자녀로 출생신고가 된 경우 친아버지를 확인받으려면 법적 혼란을 막고자 현행대로 소송을 내야 한다.
법무부는 "간단하고 쉬운 절차를 통한 신속한 줄생신고로 자녀의 복리를 증진하고,
이혼 후 새 가정을 꾸리려는 어머니의 행복추구권도 두텁게 보호하며,
생부도 자녀와 진실한 혈연관계를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02 - 955 - 5552
서울북부지방법원 정문 맞은편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734( 도봉동 631-18 ), 3F
'이혼소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원 "시어머니가 혼인 파탄에 책임 있다면 위자료 줘야" (0) | 2017.10.24 |
---|---|
"사랑해"라고 보낸 문자... 간통 아니어도 '부정행위'로 이혼사유 (0) | 2017.10.20 |
혼인 파탄의 책임이 쌍방 모두에게 있을 때 위자료 청구를 하면? (0) | 2017.10.16 |
사실혼관계 존재 확인의 소란 무엇일까? (0) | 2017.10.12 |
이혼소송 재산분할 후의 세금은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17.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