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관계증명서에 이혼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기존의 호적부는 2008년 1월 1일부터 가족관계등록부로 대체되었습니다.
가족관계등록부는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입양관계증명서, 친양자입양관계증명서
의 5가지로 구성되는데,
이 중 배우자 관계가 나타나는 증명서는 가족관계증명서와 혼인관계증명서입니다.
가족관계증명서에는 현재의 배우자만 나타나므로 이혼경력이 나타나지 않지만,
혼인관계증명서에는 혼인 및 이혼에 관한 사항이 모두 기재되므로 이혼사실이 나타납니다.
혼인관계증명서에 기재된 사항은 이혼무효 등의 판결이 없는 한 임의로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없습니다.
02 - 955 - 5552
서울북부지방법원 정문 맞은편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734, 3F
'이혼소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혼할 때 체크해야할 4가지 법적 쟁점 - 도봉구이혼전문변호사 - (0) | 2022.08.22 |
---|---|
공무원과 재결한 후 또 이혼한 배우자, 혼인기간 다 합쳐 재산분할 (0) | 2022.08.11 |
혼인파탄의 원인이 부부 쌍방에게 있을 경우, 위자료의 청구 - 도봉구이혼전문변호사 - (0) | 2022.07.18 |
종교상의 이유로 제사를 거부한 경우, 정당한 이혼사유 - 도봉구이혼전문변호사 - (0) | 2022.07.08 |
남편 모르게 아내가 낸 소송서 '이혼판결' (0) | 2022.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