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혼소송

재산분할의 부당이득반환청구 - 이혼소송무료상담.재산분할무료상담.위자료무료상담 -

 

 

부당이득반환청구

 

 

이혼재산분할 문제에 있어서는 그 재산이 특유재산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가리는 것은 매우 중요한 쟁점으로 합니다.

특유재산으로 인정된다면 이혼재산분할에서 제외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민법에서는 부부 일방의 혼인 중 단독 명의로 취득한 부동산 등은

그 명의자의 특유재산으로 추정되어 번복하기 위해서는 다른 일방의 배우자가 실제로 당해

부동산의 대가를 부담하여 그 부동산을 자신이 실질적으로 소유하기 위해 취득했음을 증명해야 합니다.

 

판례에 의하면 특유재산 추정의 번복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단순히 다른 일방 배우자가

그 매수자금의 출처라는 사정만으로 무조건 특유재산의 추정을 번복하고 당해 부동산에 관해 명의신탁이 있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관련 증거들을 통해 나타난 모든 사정들을 종합해 다른 일방 배우자가 당해 부동산을 실질적으로 소유하기 위해

그 대가를 부담했는지 여부를 개별적으로 가려 명의신탁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라고 말합니다.

 

만약, 이혼재산분할시 반영되지 않은 재산이 존재하며,

이로 인한 부당이득이 상대방에게 주어졌다면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통해 재산을 반환 받을 수 있는 사항이 존재합니다.

 

실제로 이혼시 재산분할 대상이 되는 재산에 대해서는 부부 공동명의 재산은 물론 혼인 중

공동생활을 위해 취득한 주택, 가재도구를 비롯해 부동산, 주식, 예금 등이 포함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혼인 전 부부가 각자 소유하고 있던 재산이나 혼인 중 일방이 상속이나 증여 등에 의하여

취득한 재산이나 장신구, 의류 등은 특유재산으로 분할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다만, 부부 일방의 특유재산이라 할지라도 그 재산의 가치가 증가 및 유지에 기여가 인정된다면

가치 증액분이나 유지의 기여분에 대해 분할이 인정될 수 있다고 봅니다.

 

이렇듯 이혼재산분할에 있어서 특유재산을 따지는데 소유명의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닌

소유명의자가 아닌 배우자가 얼마나 부담했는지를 따져보아야 합니다.

그 입증에 있어서는 명의가 아닌자, 상대방이 증명해야 하는 책임이 있는 것으로소유권 등기가 된 경우

소유권자로 추정 받기 때문에, 공유자라고 주장하는 자에게 그 입증 책임이 존재합니다.

 

이혼재산분할에서는 재산형성이나 유지 등에 관한 기여를 입증할 수 있는 소득관련 자료나

금전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은행거래내역서 등을 준비하는 것도 재산분할 재판을 할 때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02 - 955 - 5552

서울북부지방법원 정문 맞은편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734( 도봉동 631 - 18 ) , 3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