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혼소송

장래의 퇴직금 재산분할 가능할까?

 

 

연금 재산분할

 

 

사립학교 교직원으로 근무하던 A씨와 B씨는 연애를 하던 끝에 결혼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B씨는 임신을 하고 아이를 출산하자 양육을 위해 교직생활을 그만두었습니다.

그러나 두 사람은 결혼생활을 하다가 성격차이 및 양육문제 등으로 갈등이 생겼고

별거를 하다가 두 사람은 서로를 상대로 이혼소송을 제기하였습니다.

 

재판부는 남편은 배우지의 내조로 인해 교사로 근무했으며 퇴직연금까지 받을 수 있게 되었다고 봤습니다.

이어 액수를 명확히 정하기는 어렵다는 이유로 퇴직연금을 재산분할에서 제외한다면 형평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하였습니다.

 

국민연금법에서 노령연금은 이혼을 한 배우자를 분할연금의 수급권자로 인정하여 혼인기간 동안

해당되는 연금액을 공정하게 나눈 금액을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수령하게 되면 이혼 시 재산분할의 대상이 될 수 있지만

연금형태로 수령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재산분할의 대상이 아니라고 하는 것은 불합리한 판단이라고 판시하였습니다.

 

재판부는 남편과 부인이 서로를 상대로 제기한 이혼 및 위자료청구소송에서

A씨는 B씨에게 사망에 이를때까지 매월 지급받는 연금액의 50%를 지급하라고 확정하였습니다.

 

재산분할이나 위자료 등으로 이혼에 어려움이 있다면 하람법률사무소에서 최선을 다해 도와드리겠습니다.

 

 

02 - 955 - 5552

서울북부지방법원 정문 맞은편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734( 도봉동 631 - 18 ) , 3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