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자로서 정조의무에 충실치 못한 일체의 부정한 행위인지 여부는
구체적 사안에 따라 그 정도와 상황을 참작하여 이를 평가해야 합니다.
이혼사유로서 부정행위가 성립하려면
외형적으로는 혼인의 순결성을 더럽히는 행위가 있어야 하고
또 그것이 내심적으로는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행하여졌다는 2가지의 요소가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자유의사에 따른 이상 부녀자를 강제로 간음하고
성적관계를 맺은 경우도 부정행위에 해당하나,
처가 강간을 당하거나 강박이나 심신상실상태에서 성적관계를 당한 경우는
객관적.외형적 요소만 있으므로 이혼사유가 될 수 없습니다.
02 - 955 - 5552
서울북부지방법원 정문 맞은편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734, 3F
'이혼소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자료에 대한 잘못된 견해 - 위자료청구소송.이혼전문변호사 - (0) | 2018.11.07 |
---|---|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가 인정되는 경우 - 도봉구이혼전문변호사 - (0) | 2018.11.05 |
친권상실선고청구소송이란? - 친권.양육권.가사소송변호사 - (0) | 2018.10.30 |
사실혼으로 인정되는 경우 - 동거.사실혼.이혼손해배상무료상담 - (0) | 2018.10.29 |
재산분할청구권의 기본적인 사항 - 도봉구이혼전문변호사 - (0) | 2018.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