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일 결혼식까지 올렸지만
부부 중 한 사람이 혼인신고를 거부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A. 관할 가정법원에 '사실혼관계 존재 확인의 소'를 제기하면 됩니다.
결혼식까지 올리고 동거까지 하고 있는 경우라면 사실혼 상태라고 볼 수 있으므로,
가정법원에 '사실혼관계 존재 확인의 소'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판결이 확정되면 재판확정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재판서의 도봉과 확정증명서를 첨부하여 혼인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단, 먼저 '사실상 혼인관계 존재 확인'의 조정을 거친 후에 소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위 소를 제기하여 승소하더라도,
혼인신고를 한 뒤에야 혼인의 효력이 발생합니다.
(대법원 1973. 1. 16. 72므25판결).
02 - 955 - 5552
서울북부지방법원 정문 맞은편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734, 3F
'이혼소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대방의 동의 없이 한 혼인신고... 효력이 있을까? - 무료법률상담.도봉구이혼전문변호사 - (0) | 2019.07.24 |
---|---|
혼인파탄의 책임이 부부 쌍방에게 있다면... 위자료는? - 도봉구이혼전문변호사 - (0) | 2019.07.16 |
재산분할, 위자료 이행이후의 세금 (0) | 2019.06.28 |
사기결혼으로 인한 혼인무효소송의 사례 - 북부지방법원앞이혼변호사 - (0) | 2019.06.20 |
이혼소장 답변서의 작성 - 도봉구이혼전문변호사.북부지방법원변호사 - (0) | 2019.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