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속소송

상속한정승인과 상속포기의 차이점

 

 

 

상속한정승인을 하면

상속재산의 한도에서 상속채무 또는 유증을 변제하면 되므로

변제하지 못한 채무가 있다 하더라도

한정승인자는 상속채무에 대해서 더 이상 책임지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나 상속인은 여전히 상속인으로 남게 되므로

한정승인자도 단순승인을 한 상속인과 마찬가지로 상속세를 부담합니다.

 

 

반면에 상속포기를 하게 되면

그 상속인은 더 이상 상속인의 지위를 갖지 않게 되며,

그 상속재산은 다음 순위의 상속인에게 넘어가게 됩니다.

따라서 자신이 상속을 포기했다고 해서

피상속인의 채무가 모두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후순위의 상속인이 되는 사람이 이를 상속받을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합니다.

즉, 상속을 포기할 때에는 후순위 상속인까지 모두 상속을 포기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02 - 955 - 5552

서울북부지방법원 정문 맞은편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734, 3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