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순위(민법 제1000조 및 제1003조)
제1순위 피상속인의 직계비속, 배우자
제2순위 피상속인의 직계존속, 배우자
제3순위 피상속인의 형제자매
제4순위 피상속인의 4촌 이내의 방계혈족
배우자는 혼인신고를 한 법률혼의 배우자를 말합니다.
따라서 사실혼의 배우자나 혼인이 무효가 된 경우에는 상속인이 아닙니다.
배우자는 1순위, 2순위자와 공동상속 하는 경우에는 50%를 더 받습니다.
태아는 직계비속에 포함됩니다.
양자는 생가부모, 양부모 모두의 상속인이 됩니다.
적모서자나 계모는 상속관계가 없습니다.
02 - 955 - 5552
서울북부지방법원 정문 맞은편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734, 3F
'상속소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여자 있는 때의 상속분 - 유류분반환청구소송.기여분.상속분쟁무료상담변호사 - (0) | 2018.07.20 |
---|---|
상속 받을때 주의해야할 사항 - 상속분.상속포기.상속한정승인.도봉구상속소송변호사 - (0) | 2018.07.18 |
유언이 없는 경우의 상속 - 상속분.상속순위.유류분반환청구소송.도봉구법률사무소 - (0) | 2018.07.12 |
유류분의 산정방법 - 상속분.유류분.상속무료상담변호사 - (0) | 2018.07.10 |
유류분제도란? - 상속분.유류분반환청구소송.도봉구상속무료상담변호사 - (0) | 2018.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