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자로서 정조의무에 충실치 못한 일체의 부정행위를 포함하며 이른바 간통보다는 넓은 개념으로서
부정행위인지 여부는 주체적 사안에 따라 그 정도와 상황을 참작하여 이를 평가하여야 합니다.
* * 재판상 이혼시 부정행위의 성립요건 **
이혼사유로서 부정행위가 성립하려면 외형적으로는 혼인의 순결성을 더럽히는 행위가 있어야 하고
또 그것이 내심적으로는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행하여졌다는 2가지의 요소가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자유의사에 따른 이상 부녀자를 강제로 간음하고 성적 관계를 맺은 경우도 부정행위에 해당하나,
처가 강간을 당하거나 심신상태에서 성적관계를 당한 경우는 객관적.외형적 요소만 있으므로 이혼사유가 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생계수단이 없다는 이유로 매춘행위를 계속한 경우도 부정행위가 됩니다.
02 - 955 - 5552
서울북부지방법원 정문 맞은편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734, 3F
'이혼소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자료 산정방법 - 위자료.손해배상소송.이혼손해배상.유책배우자.이혼소송변호사 - (0) | 2016.12.01 |
---|---|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가 인정되는 경우 - 이혼소송.유책배우자.유책주의.이혼소송무료상담변호사 - (0) | 2016.11.30 |
사실혼으로 인정되는 경우, 인정되지 않는 경우 - 동거.사실혼.사실혼위자료청구.사실혼해소.도봉구가사소송무료상담변호사 - (0) | 2016.11.28 |
이혼할때의 재산분할 청구의 이해 - 이혼소송.재산분할청구.연금재산분할.특유재산.이혼소송무료상담 - (0) | 2016.11.25 |
상간녀 손해배상 소송, 모든 상황에 가능한가? - 불륜.바람.외도.손해배상소송.상간녀위자료청구소송 - (0) | 2016.11.24 |